변형으로 인한 균열의 발생, 잔금등으로 파단이 일어나기 전까지 크리프 변형은 계속됩니다. 이는 공동으로 인해 균열이 발생하고 균열이 크리프 파단점까지 진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공동은 연성금속의 경우 고온에서 동적 재결정의 과정으로 일부 소멸됩니다. 따라서 공동이 없어져 파단 없이 꽤 큰 변형량을 수용가능하게 됩니다. 이후 네킹에 의해 파단이 일어납니다. 이러한 변형->파단의 과정은 굉장히 긴 시간을 요구하게 됩니다. 그래서 크리프시험을 할때 외삽의 방법을 사용하거나 시간-온도를 동시에 고려한 인자를 사용하여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실험을 실시합니다. 그럼 온도의 상승에 의해 변형이 가속화되어 시간이 비교적 짧아집니다. 이때 시간과 온도를 동시에 고려한 인자가 대표적으로 2가지가 있습니다. ..
지난 포스팅에서 비정질 재료의 점성 크리프 거동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https://new-material.tistory.com/135 크리프 (2) - 점성크리프, 열적활성화,아레니우스식 지난 포스팅에서 크리프란 무엇인지, 크리프 거동의 단계를 알아보았습니다. https://new-material.tistory.com/134 크리프 (1) - 크리프와 온도 / 크리프거동 3단계 보통 재료에 힘을 가할때, 항복강도라는 new-material.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결정질 재료의 크리프 변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야기 하였던 열적활성화를 통해 활성화 속도를 아레니우스 방정식, ϵ′=Ae−QRT라고 알아보았습니다. 점성크리프와 마..

지난 포스팅에서 크리프란 무엇인지, 크리프 거동의 단계를 알아보았습니다. https://new-material.tistory.com/134 크리프 (1) - 크리프와 온도 / 크리프거동 3단계 보통 재료에 힘을 가할때, 항복강도라는 물성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왜냐하면 항복강도 이상의 힘에 그 재료는 탄성변형 영역을 지나 소성변형을 하여 영구적인 변형을 가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new-material.tistory.com 이제 크리프 거동의 그래프 해석을 더욱 자세히 생각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차 크리프, 즉 정상상태 크리프의 변형률속도를 정상상태 변형률속도라고 하였습니다. 활성화 에너지 변형률 속도를 ϵ′라고 하겠습니다. ϵ′sc는 정상상태 변형률 속도입니다...

보통 재료에 힘을 가할때, 항복강도라는 물성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왜냐하면 항복강도 이상의 힘에 그 재료는 탄성변형 영역을 지나 소성변형을 하여 영구적인 변형을 가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항복강도 이하의 힘에 반드시 탄성변형이 아닌 변형이 일어나지 않을까요? 정답은 항복강도 이하의 힘에도 변형이 일어나게 됩니다. 일정한 정적하중을 가해 줬을때, 그 하중이 항복강도 이하임에도 불구하고 시간에 따라 소성변형이 일어나는 시간의존적인 변형을 크리프변형이라고 합니다. 크리프변형이 일어나는 이유는 많은 결정립으로 이루어진 결정에서 공공 등이 확산하기 때문인데, 이유는 이후에 이야기하도록 하겠습니다. 크리프와 온도의 관계 크리프 변형은 상온에서도 일어나긴 하지만 온도가 올라갈수록 잘 일어납니다. 말씀드렸듯, 확..

피로 파괴가 반복되는 하중이 계속해서 있는 것이라면, 크리프는 고온에서 정적인 하중이 계속될때 일어나는 것입니다. 이 또한 인장강도에 미치지 않는데도 파괴가 일어나는 현상이 생기므로 굉장히 중요한 부분입니다. 따라서 굉장히 시간 의존적인 함수입니다. 이러한 변형은 전적으로 탄성변형 입니다. 우선 그래프를 먼저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러한 시간 의존적인 함수의 변형률-시간 그래프는 세구역으로 나뉘어지게 됩니다. 그래프에서 표시한 1차,2차,3차인데 1차 크리프는 전이 크리프라고도 하며 크리프 속도가 연속적으로 감소하며 곡선의 기울기가 감소합니다. 이는 변형 경화로 인해 변형 속도가 감소하는 현상으로 생기게 됩니다. 2차 크리프는 정상상태 크리프라고 하며 직선영역에 해당합니다. 여기서는 변형경화와 회복현상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