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 성분계 상평형 (2) - G-P그래프에 대한 고찰
지난 포스팅에서는 G-T그래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https://new-material.tistory.com/140 단일 성분계 상평형 (1) - G-T그래프에 대한 고찰 상평형을 생각할때 G값이 가장 최소값일때 평형을 이루게 됩니다. 따라서 T(온도)와 P(압력)에 따른 G값을 알아보는 것은 중요합니다. 예를들어, 물을 생각해 보겠습니다. 0도씨 1기압 하에서 물과 new-material.tistory.com dG=VdP-SdT인데, 따라서 (∂G∂P)T=V입니다. 따라서 (∂ΔG∂P)T=ΔV 물의 경우로 생각해보면 특이하게도 얼음의 부피가 물의 부피보다 큽니다. 따라서 ..
재료열역학
2020. 6. 28. 22:49

상평형을 생각할때 G값이 가장 최소값일때 평형을 이루게 됩니다. 따라서 T(온도)와 P(압력)에 따른 G값을 알아보는 것은 중요합니다. 예를들어, 물을 생각해 보겠습니다. 0도씨 1기압 하에서 물과 얼음은 평형을 이루게 됩니다. 평형을 이룰때 자유에너지 G는 최소값을 가지게 됩니다. 또한 이때의 ΔG=0 입니다. 평형을 이룰때 G값은 변하지 않으므로 일부의 얼음이 녹아 물이 되도 평형상태에서는 G값이 변하지 않습니다. G=∑μidni입니다. (∂G∂ni)T,P=μi이고 이것을 위의 얼음과 물 2상에서 생각해보면 G=μ물dn물+μ얼음dn얼음입니다. 단일성분계에..
재료열역학
2020. 6. 28. 2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