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선 변형률은 재료에 응력을 가해주었을때의 변형량을 본래 재료의 길이로 나눈값 \(\epsilon\) = \(\frac{\delta}{L}\)을 사용하게 됩니다. 금속재료에 인장응력을 가해주면 (z축 방향으로) \(\epsilon_z\) 의 변형률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때 z축 방향으로 재료가 늘어나며 x축과 y축 방향으로의 수축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포아송비(v)로 v=-\(\frac{\epsilon_x}{\epsilon_z}\)=-\(\frac{\epsilon_y}{\epsilon_z}\) 로 정의 됩니다. 이때 음수부호 -를 붙이는 이유는 x축과 y축으로의 변형률이 수축으로 음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푸아송비는 양수가 되게 됩니다. 이때 등방성 재료에 대해서는 전단계수와 ..
재료과학
2019. 5. 21. 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