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new-material.tistory.com/101 상태도 분석 3) 공정반응이란 정확히 무엇인가? eutectic 재료 A와 재료B가 있다고 하겠습니다. 이때 A와B가 고체 상태인 경우엔 구성 화학종이 서로 섞이지 못해 분리가 되고, 액체상태인 경우에는 서로 섞이게 됩니다. (직관적으로도 액체상태일 경우에 섞임) 단조성상.. new-material.tistory.com 지난 포스팅을 통해 공정반응이 무엇인지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공정반응에 대하여 더욱 깊숙히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냉각곡선 우선 지난 포스팅의 공정 그래프를 보면, 다음과 같은데, 이때 공정반응이 일어나는 조성 \(X_E\)에서 보면, 다음과 같은 보라색 선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생각해보면, 액상에서 고상이 ..

우선 상평형도 즉 상태도를 분석하기 위해 이성분계에 대한 지식을 쌓고 가겠습니다. -응축상률 고상과 액상을 응축상이라고 합니다. 재료공정에서 액상과 고상의 증기압이 매우 낮다면 기상을 제외할 수 있고, 압력이 일정하다면 기분 상률 식 F = C-P+2 이 F = C-P+1이 됩니다. -열역학 단성분계에서는 Gibbs함수의 전미분식이 dG = (\(\frac{\partial G}{\partial P}\))dP + (\(\frac{\partial G}{\partial T}\))dT 로 나타나게 됩니다. 위 식은 G가 T 와 P에 대한 함수라는 뜻이고, 단성분계이므로 조성이 불변하므로 n값이 없는 식입니다. (n은 몰 수) 이때 이성분계에서는 성분이 2개이므로 조성이 변합니다. 따라서 이성분계 G는 T,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