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정조성 재료조직 두 액상선이 교차하는 공정점은 용융에서 최소점인 상태점 (조성,온도)를 나타낸다. 이 경우 재료에서 두 고상은 흔히 교대층으로 결합성장을 하여 층상조직을 만들게 됩니다. 공정 과정에서 성장한 \(\alpha 상과 \beta\) 상의 두 고상이 있다고 했을때 이 두상은 동시에 성장하므로 재료조직은 두 결정상의 상대적인 분율에 따라 크게 다르게 되며 두상의 결합 유형이나 결정구조에 차이가 발생합니다. 공정조성에서 고상의 비율이 거의 같은 합금계의 경우 층상조직이 발달합니다. 이 경우에는 \(\alpha 와 \beta \) 상의 띠가 번갈아 나타납니다. 또한 고상의 비율이 크게 다른 합금계에서는 분율에서 우세한 상은 기지를 구성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상은 기지 내에 발달합니다. 이때 기지 ..

https://new-material.tistory.com/101 상태도 분석 3) 공정반응이란 정확히 무엇인가? eutectic 재료 A와 재료B가 있다고 하겠습니다. 이때 A와B가 고체 상태인 경우엔 구성 화학종이 서로 섞이지 못해 분리가 되고, 액체상태인 경우에는 서로 섞이게 됩니다. (직관적으로도 액체상태일 경우에 섞임) 단조성상.. new-material.tistory.com 지난 포스팅을 통해 공정반응이 무엇인지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공정반응에 대하여 더욱 깊숙히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냉각곡선 우선 지난 포스팅의 공정 그래프를 보면, 다음과 같은데, 이때 공정반응이 일어나는 조성 \(X_E\)에서 보면, 다음과 같은 보라색 선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생각해보면, 액상에서 고상이 ..

재료 A와 재료B가 있다고 하겠습니다. 이때 A와B가 고체 상태인 경우엔 구성 화학종이 서로 섞이지 못해 분리가 되고, 액체상태인 경우에는 서로 섞이게 됩니다. (직관적으로도 액체상태일 경우에 섞임) 단조성상으로 응고가 되는형태에서 (밑의 링크는 단조성상에 대한 설명이 있는 페이지) A에 B를 조성에 더하면 A의 용융점이 낮아지고, 단조성상 B에 A를 조성에 더하면 B의 용융점이 낮아집니다. (용질을 추가할 경우 화학퍼텐셜이 낮아지며 용융점이 낮아지는 원리 또한 밑의 페이지에 설명) https://new-material.tistory.com/100 이성분계 응축상률 / 열역학 (화학퍼텐셜) / 응고유형 -단조성상 고용체 중간화합물 우선 상평형도 즉 상태도를 분석하기 위해 이성분계에 대한 지식을 쌓고 가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