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간군(1)에서 반전조작과 병진조작의 합성조작, 회전조작과 병진조작의 합성조작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반영조작과 병진조작의 합성조작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영조작과 병진조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경우 반영조작이 병진하게 됩니다. 여기서 회전조작과의 합성과 마찬가지로 반영면에 평행하여 병진하는 경우와 수직하여 병진하는 경우 두가지로 나뉘게 됩니다. 우선 반영면에 평행하여 병진하는 경우를 보겠습니다. 그림과 같이 반영면에 평행하여 병진할 경우 단순히 반영면을 따라 병진하게 됩니다. 중간의 직선이 바로 반영면 입니다. 이 경우 병진조작이 격자병진이 아닌 경우에도 이렇듯 닫힐 수 있는데, 이때의 경우를 영진 반영 혹은 영진 조작이라고 합니다. 이때의 대칭 기하요소는 영진면이 됩니다. ..

점군은 결정에서 최소단위의 원자 무리가 공간또는 선,면에서 보이는 반복성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반복성이 공간에서 어떻게 대칭되는지를 알기 위해서 점군의 대칭과 격자의 대칭을 함께 알아야만 합니다. 우선 점군의 기본 대칭조작에는 반전조작 / 회전조작 / 반영조작 이 있고 격자의 기본 대칭조작에는 병진조작이 있습니다. 이러한 점군의 대칭조작과 격자의 대칭조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면 합성조작이 생기는데, 이 합성조작이 대칭조작이 되기 위해서는 이 조작이 연속하여 진행하면 격자점마다 닫혀야 합니다. 그렇다면 합성되는 조작에 대해 알아봅시다. (1) 반전조작과 병진조작의 합성 반전조작 (\(i^1\)) 과 병진조작 (T)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면 반전조작이 병진하여 퍼져나가게 됩니다. 이 합성조작을 연속해서 수행하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