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용체는 성분이 둘 이상인 균일한 단상을 의미합니다. 고용체를 구성하는 두 성분에서 비율이 큰 원자나 화학종을 용매라고 하고 비율이 낮은 다른 한 원자나 화학종을 용질이라고 합니다. 고용체의 기지는 용매에 해당하는 원자(용매원자)가 구성한다면, 용질에 해당하는 원자(용질원자)는 결정구조에서 용매원자를 치환하거나 용매원자 사이 빈 자리에 들어가게 됩니다. 교용체의 종류에는 크게 치환형 고용체와 침입형 고용체가 있는데, - 치환형고용체 치환형 고용체의 경우 용질원자가 용매원자를 치환하여 그 자리를 점유하는 경우입니다. 이때 치환의 조건이 있는데 그 조건에 대한 규칙이 hume-rothery 규칙입니다. 이 규칙에 의하면 4가지 조건에 의해 치환이 잘 될 수 있습니다. 1) 원자 (이온) 크기 용매와 용질 원..

우선 상평형도 즉 상태도를 분석하기 위해 이성분계에 대한 지식을 쌓고 가겠습니다. -응축상률 고상과 액상을 응축상이라고 합니다. 재료공정에서 액상과 고상의 증기압이 매우 낮다면 기상을 제외할 수 있고, 압력이 일정하다면 기분 상률 식 F = C-P+2 이 F = C-P+1이 됩니다. -열역학 단성분계에서는 Gibbs함수의 전미분식이 dG = (\(\frac{\partial G}{\partial P}\))dP + (\(\frac{\partial G}{\partial T}\))dT 로 나타나게 됩니다. 위 식은 G가 T 와 P에 대한 함수라는 뜻이고, 단성분계이므로 조성이 불변하므로 n값이 없는 식입니다. (n은 몰 수) 이때 이성분계에서는 성분이 2개이므로 조성이 변합니다. 따라서 이성분계 G는 T,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