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높은 온도에서 고분자가 외부에서 가해진 기계적인 힘에 어떻게 반응하는 가는 주된 분자 구조가 어떤 것인가에 달려있다. 이들 물질을 구분하는 하나의 기준은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어떤 행동을 하느냐이다. 이때 열가소성 고분자와 열경화성 고분자 2가지로 나뉘게 된다. 1.열가소성 고분자 (1). 열가소성 고분자는 가열하면 부드러워지며 궁극적으로 액체로 변했다가 다시 단단해진다. (2). 열가소성 고분자는 선형 혹은 유연한 사슬을 지닌 가지친 고분자이다. (3). 분자 수준에서는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분자의 운동이 심해지고 2차 결합력이 분자의 운동을 이기지 못해 인접한 사슬의 움직임이 쉬워진다. 가교된부분이 적어 사슬이 유연해 지는 것이다. (4). 한편 온도가 너무 올라 공유결합을 끊을 정도가 되면 비가역적..

고분자의 거대 분자에서 골격 원자들이 평면이 아님을 고분자 구조(2)에서 설명하였다. 이들은 구부러져서 지그재그 배열을 하고 있다. 단일 사슬 결합은 3자춴적으로 회전하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이런식으로 탄소 골격으로 보았을 때 결합각 109도를 유지하면서 원뿔의 밑면 원의 어디든 위치 할 수 있으므로 많은 부분이 구부러지고, 비틀린 모양을 하게 된다. 이는 마치 주머니 속 이어폰 줄을 연상 시킨다. 무작위로 형성된 사슬 구조에서 끝부분과 끝부분을 직선으로 연결한 말단거리는 물론 사슬 전체 길이보다 짧을 것이다. 이러한 무작위한 꼬임과 얽힘은 고무 성질의 물질이 가진 탄성 인장을 포함한 고분자의 많은 중요한 특성의 근원이다. 이런 모양의 사슬이 분자구조는 어떤 형태를 지니게 될까? 고분자의 물리적 특성은..